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토지거래허가구역

     

    부동산 시장의 과열과 투기 수요 억제를 위한 강력한 제도 중 하나가 바로 토지거래허가구역입니다.

     

    최근 서울의 강남, 서초, 송파, 용산 등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이 제도가 확대 지정되면서 거래를 준비 중인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고 계십니다.

     

    이 글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의 배경, 지역, 효과, 절차, 유의사항을 전체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①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83조에 근거해, 부동산 투기 예방 및 공공개발 추진을 위해 일정 지역을 거래 허가 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구역 내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 부동산을 거래할 때 반드시 관할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지정 목적: 투기 억제, 공공개발 보호, 시장 안정
    • 허가 대상: 일정 면적 이상의 토지, 주택, 아파트, 입주권, 분양권
    • 지정 기간: 최대 5년 (필요 시 연장)

     

    ② 최근 확대 지정 개요

     

    2025년부터 서울 주요 지역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이 시행되었습니다.

     

    이는 특히 강남권의 과열 재건축 단지와 고가 아파트 거래 급증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지정일 2025년 3월 24일
    지정기간 2025년 3월 24일 ~ 9월 30일 (6개월)
    대상지역 서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 전체 아파트
    주요 포함단지 압구정, 여의도, 목동, 성수동 일대

     

     

    ③ 왜 확대 지정되었나?

     

    2024년 말 일부 해제 이후 거래량이 급등하고, 신고가 갱신과 함께 투기 우려가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협력해 시장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조치로 다시 확대 지정한 것입니다.

     

    • 해제 직후 거래량 폭증
    • 실거래가 신고가 잇따라 발생
    • 풍선효과로 인근 지역 집값 자극

     

    ④ 거래 시 어떤 제한이 있나?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에서 일정 면적 이상 부동산을 거래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1. 허가신청서 작성
    2. 이용계획서, 실거주 증명,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3. 해당 구청장 허가 필요

    예외 없이 다음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 실거주 목적 (전입신고 필수)
    • 2년 이상 거주 의무
    • 기존 보유 주택 처분 조건 가능

     

    ⑤ 위반 시 제재 내용

     

    허가 없이 거래하거나 허가조건을 위반할 경우 아래와 같은 법적 불이익이 따릅니다.

     

    • 계약 효력 무효
    • 2년 이하 징역 또는 거래가액의 30% 이하 벌금
    • 이용의무 위반 시 이행강제금 부과 (최대 10%)

     

    ⑥ 시장 반응과 영향

     

    지정 이후 서울 주요 아파트 거래량은 급감했지만, 가격은 일시적으로 상승했습니다.

     

    구분 변화
    강남 3구 거래량 평균 92% 감소
    아파트 가격 서울 평균 29% 상승 / 강남 최대 76% 상승

     

    정부는 풍선효과 우려 지역에 대해서도 감시와 추가 지정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⑦ 추가 지정 가능성과 대응 전략

     

    • 강동·성동·마포·광진구 등 인근 지역 모니터링 중
    • 금융규제 병행: 대출 심사 강화, 자금출처 확인
    • 의심거래 조사: 다주택자, 외지인, 차명거래 추적

     

    개인이나 투자자가 거래를 계획할 경우 허가 필요 여부, 자금조달계획서 정비, 실거주 가능성 등을 사전에 점검해야 합니다.

     

    ⑧ 요약 정리

     

    지정 구역 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 아파트 전체
    지정 기간 2025.03.24 ~ 09.30 (연장 가능)
    허가 조건 실거주 목적, 2년 이상 거주, 주택 처분 조건 등
    위반 시 계약 무효, 징역 또는 벌금, 강제금
    시장 효과 거래 감소, 가격 일시 상승

    🔍 마무리 조언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은 일시적인 규제 이상으로, 장기적으로 시장의 건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장치입니다.

     

    거래 전 반드시 허가 요건과 절차를 확인하고, 전문가 상담을 받는 것이 안전한 부동산 거래의 첫걸음입니다.

     

    012345678910

     

    012345678910
    01234567891011121314